개요
•
운영기간: 2025년 7월 ~ 8월
•
지원자격:
◦
감각 및 운동 재활, 인지 과학, 운동학습 및 제어 분야의 연구에 관심이 있다.
◦
한국어로 희망 연구주제(또는 본인의 연구 관심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6-9개월 이내에 한국어(영어)로 논문 출판을 희망하며, 매주 8시간 이상 연구 및 논문 작성을 진행할 수 있다.
•
운영방법:
◦
(7월 7일) 킥오프 미팅: 개인별 연구주제 확인 및 문헌연구 방향 설정
◦
(7월 7일 ~ 8월 31일) 개인별 문헌 리서치 및 연구 계획 작성(문헌고찰연구, 실험연구 등)
◦
(7월 7일 ~ 8월 31일) 주 1회 대면 및 비대면 미팅: 개인별 연구진행상황 보고 및 피드백
◦
(9월 초, TBA) 연구 성과 발표회
•
후속 조치
◦
2025년 2학기 재활논문연구 강의 개설 및 논문연구지도 지속
◦
2025년 12월 논문 투고 목표
참가자 명단
2학기, class 1. 하정달, 풍율 (총 1명)
1학기, class 2. 장형심, 이우주, 박진이, 장뤄판, 리지아훼이, 천저난 (총 6명)
1학기 *왕예린, 조고봉월
참가자 명단
멘토 | 멘티 | 주제 | 킥오프 | 워크북 읽기 | 글쓰기 몰두 계약서 | 지식/전문성 |
윤석호 | 하정달 | HAR | 가정환경 웨어러블 비젼센서 활용 행동, 생체신호 수집 분석 인공지능, 발달장애 조기선별 | 1주차까지, | 불참 | |
윤석호 | 풍율 | 뇌과학 | 뇌손상, 뇌조절 | 전문성, 지식, 기술 | 없음. | |
강수라 | 장형심 | 아동 | 뇌성마비 아동, 인공지능 활용 재활,
재활비용, | 없음. | ||
강수라 | 이우주 | 아동 | 뇌성마비, 상지훈련, 전기자극 (국립재활원) | 지식 없음. | ||
강수라 | 박진이 | 아동 | 파킨슨 환자 보행, 스마트 재활 로봇, | 없음. | ||
강수라 | 장뤄판 | 아동 | 음악교육 일반아동 대상 → 리듬운동훈련, 감각통합, 운동훈련, 감각통합장애 | 있음 | ||
윤석호 | 리지아훼이 | 주제 미정 | 견갑골, 프렌치 푸쉬업, 턱걸이, | 불참 | ||
윤석호 | 천저난 | 주제 미정 | 어깨 관절 질환, 회전근개 수술 후 신경 조절 등 - 치료 경험 있음. | 조금(치료경험) |
2025년 7월 7일, 15:30 킥오프 미팅, 410호
•
주제
◦
방학동안 문헌 조사 연구 진행하고 싶은 주제
◦
해당 주제에 관하여, 선택한 개인적 이유에 대해 설명
•
@7/14/2025 2차 미팅
HumInt | SciQua | |
revising pathway | ||
drafting pathway |
모두 SciQua
이우주, 장뤄판은 revising
나머지는 모두 drafting
다음주까지, 글쓰기 몰두 계약서 작성
Week 0의 week 0, step 5까지
@7/21/2025 3차 미팅
진도 확인: W0, step 5까지
W1:
나에게 맞는 글쓰기 시간대, 스케쥴
나의 상태에 맞는 글쓰기 계획(12주, 48주, …)
(대략의 계획임) W0를 하면서 다시 새롭게 시작할 것임.
W0:
Step 1: 논문 작업용 문서 만들기(ideas for article)
Step 2: 글쓰기 스케쥴 (주간일정, 연간일정)
Step 3: 논문에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논문의 Argument란 무엇인가? : 주장, W2
논문의 Citation이란 무엇인가? : 선행연구, W5
논문의 Significance란 무엇인가?: 필요성, 중요성, W6
Step 4: 나의 관심 영역 탐색
Step 5: (내가 소속되어있는 전문 분야 & 나의 능력과 전문성) & 나의 관심사 정렬(alignment)하기
alignment 발견
Step 6: 影響力있는 저널 찾기 (개인별 관심 주제에 관한 저널 검색하여 선택)
Step 7: 개인별 논문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reference management SW 설치 및 사용법 익히기)
다음주 과제:
Step 8(12H+)
산출물 확인: 영향력 있는 논문들에 관한 보고서
@7/21/2025
워크북 W0 step 1부터 7까지 읽고, 과제 수행하여 보고서 제출
과제 공지(이메일로 과제 전달함)
@7/28/2025
지난주 과제 점검: W0 (step 1 ~ 7)
개인별 내용 발표 및 피드백(10분)
참여자 제출 문서
다음주 과제:
참고 웹사이트
•

•

@8/4/2025 월요일 오후 3시
논문 10편 요약 보고서 발표 (10편이면 가장 좋음, 5편도 괜찮고, 3편도 나쁘지 않음.) 및 피드백
•
학술적 용어 사용(영어 또는 한국어), 개념 설명 할 수 있어야 함.
•
[가장 중요한 것] GPT가 아니라, 내가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
직접 중국어로 작성 → 한국어로 번역 (OK)
◦
GPT가 모두 작성 (X) → 나는 모르는 내용이 작성 됨.
(이번 주 과제) W0 Step 9-13 진행
Step 9: 아이디어와 주장 브레인스토밍 하기
지난 기간 수행한 다섯 스텝에 대해 되짚어 생각해보라.
나의 논문을 위한 20개의 아이디어를 작성하라.
가능하다면 질문이나 주장의 형태로 기술하라.
생각이 발전하는 과정(never an “Ah-Ha”, it’s gradual)
읽는다 →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 아이디어를 캡쳐하고, 좀 더 읽는다 → 그러면 또 다른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Rabbit Hole Method
읽고, 보고, … 듣고, 생각하고, … 이런 여러가지 정보들을 머리 속에 넣고, 그 안에서 기어나온다(헤쳐나온다). 그리고, 어떤 질서를 그것들에 부여한다.
아이디어를 테스트하라.
Step 10: 교수님들에게 질문하라.
Step 11: Arguments(주장)를 점검하라.
주장, 가설, 실마리에 대해 그동안 알게 된 것을 정리해보라.
정리한 내용이 만약 하나의 글(논문)을 이끌어 갈 만큼 응집되지 않았다면, 가장 흥미로운 아이디어부터 가지고 놀아 구체화하라.
메타포(은유)를 이용한 사고실험
동료와의 토론/대화 (또는 가족, 연구 내용을 잘 모르는 사람)
산책은 창의성을 두배 이상 증가시킨다.
시각화(이미지, 스토리보드, 지도)
Step 12: 선행연구를 점검하라.
“W5 인용문헌 다듬기” 참조
누군가 이미 제시한 주장은 출판될 수 없다.
주장의 novelty와 significance를 문헌 고찰을 통해 점검한다.
[nihill novum sub sole (해 아래 새 것이 없나니),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서 더 넓은 세상을 보라.]
주제에 관한 문헌 검색을 수행한다.
나의 주제에 관해 다른 사람들은 어떤 주장을 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그 주제에 대해 논의된 바가 거의 없거나, 당신이 전개하려는 방식과 다르다면, 당신의 주장을 그대로 진행하라.
당신의 주장과 비슷하지만 완전히 같지는 않은 것을 발견했다면, (이것도 좋다) 그 연구를 확장하라. 당신의 아이디어에 대해 더 고민한다면 출판된 연구와 다른 방향으로 발전해가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단계에서의 문헌고찰을 통해 자신의 주제가 학술적으로 진부한 것으로 평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당신의 주장과 명백히 중복되어 주장이 성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예를들면, )
만약 자신의 주장이 성립 불가능하다면, 이전 단계로 돌아가서 어떤 주장을 전개하고 싶은지 다시 검토하라.
"주장이 성립 불가능하다(untenable)"는 것은, 논리적으로나 경험적으로 해당 주장을 더 이상 지지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
1. 동일한 주장이 이미 제시되고 검증됨
•
예시: 당신이 주장하려는 핵심 아이디어가 이미 다른 연구자에 의해 제시되었고, 동일한 근거와 방향으로 검토되어 결론이 난 경우.
•
→ 출판 불가 사유: 독창성이 없음.
2. 반례나 반증이 이미 강력하게 제시된 경우
•
예시: 당신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다수의 실증적 연구가 존재하고, 그 반박을 뒤집을 수 있는 근거가 부족한 경우.
•
→ 출판 불가 사유: 경험적/이론적으로 지지가 불가능함.
3. 개념적 오류 또는 정의상의 모순이 있는 경우
•
예시: 사용하는 핵심 개념들 사이에 모순이 있거나, 용어 정의가 기존 연구와 너무 어긋나 주장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
•
→ 출판 불가 사유: 논리적 정합성 부족.
4. 주장이 전제한 가정이 잘못된 경우
•
예시: "A는 B를 유발한다"는 주장이 어떤 이론적 가정(A와 B의 관계 등)에 기반하는데, 그 가정이 잘못되었거나 현대 연구에 의해 폐기된 경우.
•
→ 출판 불가 사유: 기반 이론 붕괴.
5. 주장의 범위가 지나치게 좁거나 자명한 경우
•
예시: "사람은 낮에 더 활동적이다"처럼 너무 자명해서 분석할 필요가 없거나, 영향력 없는 세부 주장만을 담은 경우.
•
→ 출판 불가 사유: 학문적 기여도가 없음.
6. 주장의 맥락이 너무 시대에 뒤처진 경우
•
예시: 이미 10년 전 논쟁이 종결된 주제를 새롭게 다루지만, 이전 논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할 경우.
•
→ 출판 불가 사유: 학계 내 관심 부족.
OpenAI. (2025, July 31). ChatGPT response to a question about untenable academic arguments. ChatGPT (Version GPT-4o) [Large language model]. https://chat.openai.com/
Step 13: 연구방법을 점검하라.
“Week 7: Analyzing Your Evidence” 참조
내가 할 수 있는 것인가?
통계방법, 자료수집 방법, 실험 방법론 등
새로운 방법이나 이론적 접근이 필요한 경우, 추가 학습이 필요함.
(역량의 부족함 발견하고 보완하기)
연구자의 전문성과 방법론적 역량이 연구의 제한요소가 될 수 있다.
연구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함.
실험연구인 경우 실험설계, 실험장비 사용법, 데이터 저장 및 처리, 프로그래밍 능력 등
문헌분석 연구인 경우, 메타분석 방법론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함.
출판된 논문들의 Methods Section에서 해당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과제) 주장(argument) 정리 및 점검표 작성
•
아이디어와 주장 브레인스토밍 결과를 1페이지로 정리
•
아이디어 테스트 결과(교수 피드백, 동료 피드백) 정리
•
Agrument 점검: Week 2(Tasks)를 참고하여 나만의 Argument 보완
•
선행연구 점검: 아래 질문에 대해 OX 답변 → 만약 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이 O라면, 다른 주제를 찾아야 함.
◦
동일한 주장이 이미 제시되고 검증되었는가?
◦
반례나 반증이 이미 강력하게 제시되었는가?
◦
주장의 범위가 지나치게 좁거나 자명한가?
◦
주장의 맥락이 너무 시대에 뒤처졌는가?
•
연구방법 점검
◦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방법에 대해 잘 모르는 부분이 있는가?
◦
연구방법에 관련하여 추가 학습이 필요한가?
▪
추가 학습할 연구방법 목록 작성
•
email로 제출
@8/11/2025
점검표 확인
연구 계획(일정표) 확인
Step 13에서 작성한 점검표에서 Pass 했다면, Step 14~16 진행
논문 유형 선택(Original or Review)
(과제)
•
email로 제출
개인별 과제 수행(Step 14 또는 argument-Week2)
내가 수행하려는 연구가 실험연구인가, 체계적 문헌고찰연구인가. 결정해야 합니다.
리뷰논문 작성 참고 (12주 논문쓰기 워크북에서는 리뷰논문 작성 방법을 다루지 않음. 따라서 다른 자료를 참고해야 함. 아래 링크 참고)
@8/18/2025
개인별 진행 상황 확인
•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연구의 구상 OK
•
실험연구를 진행하고 싶다면: 연구방법론, 연구장비, 연구대상자 모집 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함.
•
실험연구 진행 여건이 안된다면, 문헌고찰연구를 수행
•
체계적 문헌 고찰을 우선 진행, 추후 여유가 있다면 메타 분석 연구 수행
@8/25/2025
•
다음주 과제
◦
각자 주장을 정리 (2-3문장)
◦
초록 작성(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 포함, 근거는 문헌인용으로 제시, 예상결과 포함)
◦
예상 결과: 연구 수행을 통해 새롭게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내용을 (상상) 기술
◦
문헌고찰 성과(논문 목록 및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