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W1 글쓰기 디자인

#
1
1줄요약
첫번째 주에 하게 될 과제들과 소요 시간 예측
주 5일 총 7~8시간 +
읽는다. 과제를 수행한다. 글을 쓴다.
1일차: “Introduction”을 먼저 읽고, “W1”의 tasks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만약 revise할 논문이 없고, 처음부터 시작한다면 W1 전체를 읽고 “Week 0: Writing Your Article from Scratch.”로 넘어가라.

Week 1, Day 1

글쓰기에 대한 느낌 이해하기
학계에서 글쓰기는 모두 하고 있지만, 아무도 그것에 대해 말하지 않는 것이다.
writing dysfunction
한 연구의 보고에 따르면
학자(연구자) 중 1/5은 지난 2년간 읽거나 쓰지 않았다.
1/3은 출판을 하지 않았다.
그중 절반은 논문을 읽거나 쓰는데 하루 1시간 미만을 사용한다.
또 다른 연구의 보고에 따르면
인문학 교수의 2/3, 사회과학 교수의 1/3은 지난 8년간 1편도 출판하지 않았다.
비생산적인 학자는 흔하다.
글쓰기에 관해 말하는 것(잘하든 못하든)은 생산적인 작가가 되기 위한 핵심이다.
기분에 대해 먼저 이야기해보자.
글쓰기를 끝냈을 때 당신은 어떤 느낌을 가지는가?
아래 박스를 채우기 전에 다른 사람과 먼저 이야기를 나누라.
나의 글쓰기 경험에 관한 나의 느낌
아래 내용을 읽기 전에 글쓰기 경험에 관한 느낌을 1가지라도 써라. 당신과 비슷한 사례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부정적 경험
Writing is difficult and scary. Feeling anxious is an entirely appropriate response.
글쓰기에 관한 부정적인 느낌들의 공통점
긍정적 경험
언제 긍정적인 느낌이 나타나는가?
좋았던 경험이 하나라도 있다면, 무엇이 그 느낌을 만들었는지. 긍정적인 느낌들의 공통분모는 무엇인지 찾아보라.
글쓰기에 관한 긍정적인 느낌들의 공통점
좋은 글쓰기 경험들의 공통점

성공적인 작가들의 공통점, 성공적인 학술적 글쓰기의 열쇠

성공적인 작가들은 쓴다.

우선 써라.
긍정적인 느낌은 쓰는 것과 관련되어 있고, 부정적인 느낌은 안쓰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글쓰기는 운동과 같다. 글쓰기를 하지 않으면 글쓰기를 하지 않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다. 글쓰기를 피하는 기술을 연습하지 말라.
바쁘고 시간이 없어 글을 쓰지 못하는가? 당신이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자세히 살펴본다면, 사실 그렇게 바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Boice의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 중 15분에서 1시간 정도의 글을 쓸 수 있는 시간을 가진다. 하지만 그들은 그 시간동안 일도 하지 않고 놀지도 않는다. [스트레스, 결핍에 시달리는 것으로 보임]
성공적인 작가는 영감을 기다리지도, 마지막 순간까지 미루지도, 글쓰기에 전념할 수 있는 덩어리 시간을 기다리지도 않는다. 그들은 주 5일 글쓰기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지키려고 노력한다.
글쓰기 계획을 세워라. 매일 1시간 또는 그 이하의 시간동안 글을 쓰는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다면 장기간 지속할 수 있는 습관을 가지게 될 것이다.

성공적인 작가들은 읽는다.

좋은 글을 많이 읽고 이해하는 것은 형식과 내용을 학습하는 것이다.
자신의 연구 분야에서 출판된 글을 많이 읽으면 그 분야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관습을 내면화할 수 있다.
[어떻게 읽느냐가 중요하다. 읽고 이해(소화)해야 한다.]
forms(publishable prose) and contents(publishable knowledge)
읽는 습관이 없다면, 자기 전 1페이지만 읽어라. 1페이지 → 15분 → 30분
사회과학: 주당 5편, 인문학: 주당 3편
논문 1편당 30분, 1-3시간 / 주 (skimming - 빠르게 읽고 중요한 포인트만 살피는 것)

성공적인 작가들은 자신이 쓴 글을 다른 사람들과 나눈다. myth of the lonely writer

과학에서의 글쓰기는 협력작업이다.
다른 사람과 생각을 나누면서 긍정적으로 발전시키는 방법, 글쓰기는 on-going process임.
커뮤니티의 활발한 멤버가 되어, 어떤 이론이 주목받고 있는지, 중요한 연구문제가 무엇인지, 적절한 방법이 무엇인지 등을 알아내야 한다.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글/생각의 공유, 즉각적인 반응
나의 글을 다른사람에게 보여주는 것을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 comport zone을 넘어서려 노력해라.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아라. 그것이 성장의 방법이다.
누군가 나의 아이디어를 훔쳐갈까 걱정되어 공유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른 사람의 글에 그렇게 많은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내가 떠올릴 수 있는 아이디어라면 다른 사람도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공유하면 그 자체가 나의 저작권을 보호해주는 수단이 된다.
작가는 다른 작가의 글들을 빌려 글을 쓰고, 모든 글은 편집이 필요하고, 독자가 필요하다. 나 혼자 모든 과정을 다 할 수는 없다.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고 피드백을 받는 것은 필수적이며 바람직하다.

성공적인 작가들은 거절 당해도 끈기를 가진다.

유명한 작가들, 많은 노벨상 수상자들이 거절(reject) 경험을 가지고 있다.
글을 쓰고 투고 했다면, 거절 당할 것이다.
거절은 당신을 멈추게 할 수 있지만, 당신이 지속한다면 그것들이 생각만큼 무서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성공적인 작가들은 열정을 계속 좇는다.

스스로를 위한 글쓰기
자신의 관심사에 대해 쓰는 것은 가장 큰 동기이다.
자신의 문제, 내가 속한 집단의 문제, 내가 좋아하는 것들(취미)에 관해 쓰는 것은 지속할 수 있는 힘을 줄 수 있다.
당신에게 의미있는 세계에 기여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써라.
Whatever your pump is, paint it.

논문을 12주 안에 투고하기 위한 계획 디자인하기

글쓰는 습관을 가지기 위해 계획을 세워라.
목표와 마감기한을 가지면 실현할 수 있다.

Day 1 과제: 워크북 읽기

Introduction부터 다음 세 문단까지 읽어라.

글쓰기 시간 추적

일주일 동안 매일 3분간 글쓰기에 얼마만큼의 시간을 사용했는지 기록하라.
모든 활동을 기록한다. 글쓰기에 관련된 것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 관한 것들도 기록한다.
Writing your journal article in 12 weeks a guide to academic publishing success Wendy Laura Belcher(드래그함).pdf
51.7KB

W1, day 2-5: 읽기와 과제들

Day 2 과제: 글쓰기 스케쥴 디자인

글쓰기에 필요한 시간: 길고 방해받지 않는 시간, 아무것도 하지않고 오로지 책상 앞에 앉아 8시간, 밤새도록 아니면 주말 내내
주말을 기다리거나, 중요한 시험이 끝나길 기다리거나, 여름 방학을 기다리거나, … 글을 쓸 수 있는 길고 완벽한 시간을 기다림.
비정규적인 글쓰기 과정은 고통을 증가시킨다.
마라톤은 고통스럽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마라톤 하는 날이 아니면 달리지 않는다.
매일 30분 논문을 쓴다면, 당신은 일년에 몇 편의 논문을 출판하는 보기드문 작가가 될 것이다.
정기적이고, 감정적이지 않은 중간길이의 글쓰기 세션을 가지는 작가들이 더 성공적이다.
(감정적으로 충전된 binges를 가지는 작가들에 비해)
Binge writing: 긴 시간 동안 manic 상태에서 글을 쓰는 것, 그 이후 지쳐서 한동안 글을 쓸 수 없음.
이런 식의 글쓰기는 생산성과 연결될 수 없음.
지속가능한 작업-휴식 배분이 필요함.
도덕? 글을 쓰지 않는 것에 대한 죄책감, 글쓰기에 매진해야 한다는 강박관념
disciplined people rely on habit
선택이 아니라 습관, 어떤 생각, 판단도 없이 그냥 글을 쓴다.
글쓰기에 최고의 우선순위를 부여하지 말라.
가장 가치 있는 활동은 더 많은 시간, 에너지 요구하고 완벽함을 추구하게 함. 이는 그 활동을 회피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음.
현실적인 수준에서 글쓰기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라.
인생의 모든 것을 열등한 위치로 강등시키는 방식으로 글쓰기 목표를 수립하지 마시오.
Make time to go to the beach, meet a friend for dinner, or play a game of soccer or bid whist. A well-­ balanced life—­ with time allotted for friends and family, games and sports, movies and light reading, as well as writing, research, and teaching—­ is the best ground for productive writing.

매일 글쓰기 실험

짧은 글쓰기의 반복이 더 성공적일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의심함.
흔한 믿음
글쓰기를 위해 생각의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주의가 흐트러지면 회복하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글쓰기를 위해 긴 시간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실험: 일주일간 하루 15분씩 글쓰기를 하는 것
예시) 수첩에 15분 글쓰기 → 그 후 워드프로세서로 옮겨 쓰기
이 작업은 자연스럽게 교정(revise) 작업이 되었으며, 옮겨 쓰기는 전혀 시간 낭비가 아니었다.
짧은 세션은 교정, 긴 세션은 초고작성에 적합하다.
주중 15분 매일 글쓰기, 주말 2시간 글쓰기
최소한 하루 한번 나의 논문을 떠올릴 수 있도록 함.
15분은 쓸모있는 일을 하기에 충분한 시간이며, 다음 날이 되어도 전날 작업한 것을 떠올리는데 아무 문제가 없었다.
만약 정말 바쁜 하루의 시작 전에 15분 글쓰기를 마쳤다면, 그 충족감은 남은 하루를 더 잘 보낼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매일 글쓰기에 대한 질문들

15분은 최소인가 최대인가?
최소한이다. 만약 번아웃 없이 하루 2-3시간씩 매일 정기적으로 글을 쓸 수 있다면, 당신은 문제 없다.
매일 15분씩 쓰면서, 주말에 8시간의 큰 블록으로 글을 쓰거나 writing boot camp에 참여한다면 그것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큰 시간 블록은 잘 주어지지 않는다. 우리는 먹고 살기 위해 무엇인가 해야하고, 그 시간은 적지 않다.
무엇이 글쓰기인가?
글쓰기 시간을 측정할 때, 글쓰기에 관련된 많은 작업들. 글쓰기 전 후에 일어나는 많은 활동들을 모두 카운트 할 것인가?
논문을 읽고, 노트를 하고, 주장에 관해 동료와 토론 하고, 실제로 문장을 쓰고, 지우고, …
논문을 읽고, 토론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 했다면 → 글쓰기가 아니다. 미루기이다(procrastination)
논문을 읽고, 토론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고, 그 후에 작업 중인 원고에 한 문장을 써 넣었다면 → 모든 활동이 글쓰기이다.
몰아쓰기 타입의 작가라면 이 조언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사례들을 검토한다.
Jane Ward는 정기적으로 글쓰기를 위한 피정(retreats)을 갖는다. 2-4일 정도의 집중적인 글쓰기 휴가(?)이고 연간 4회 진행한다. 그녀는 6번의 피정을 통해 1권의 책을 출판했다.
마이클 노스는 여름에만 글을 쓴다. 그는 4년에 1권씩 책을 출판한다.
K-Y 테일러는 2달의 집중적인 글쓰기를 통해 초고를 완성했다.

Spree writer’s tip

이런 작가들은 binge가 아니라 spree 글쓰기를 하는 것이다.
공통적으로 그들은 글쓰기를 즐긴다(joy). 글쓰기 세션을 기대하고 기다린다. 장시간의 글쓰기는 스트레스가 되지 않으며, 글쓰기 PTSD도 경험하지 않는다.
그들은 light revisor이다. 그들은 글을 빠르게 쓰고 끝마친다. 오탈자 교정과 infelicities 정도만 수정 하고 출판한다.
그들은 머리 속에서 글을 쓴다. in-head writing
흔한 글쓰기에 대한 오해: 우리는 글을 쓰기 위해 컴퓨터 앞에 앉아 화면을 바라보며 “무엇을 쓸지” 생각한다. 이것은 발견 과정(discovery process)이며, 당연히 글쓰기에 필요한 과정이다. Spree writer들과의 결정적 차이는 여기에 있다. 키보드를 두드리는, 펜을 놀리는 행동은 동일하지만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작용은 큰 차이가 있다.
in-head writing의 글쓰기 세션은 이미 만들어 놓은 생각을 끌어내어 기록하는 것이다. 그들은 글을 쓰기 전에 이미 쓸 것을 머리 속에 만들어 두었다.
Ward는 spree 세션 사이의 기간동안 다음과 같은 글쓰기 관련 활동을 한다.
그녀는 자료를 조사하고, 노트하고, 아이디어를 동료들과 나누며 피드백을 받는다. 그녀는 통근길과 집안일을 하는 동안 idea를 formulate한다. 그녀는 주제와 관련된 강의 계획을 수립하고, 주제에 관한 강의를 진행하고 인터뷰를 한다. 주제에 관해 “글을 쓰는 행위”를 제외한 생각을 만드는 작업을 부단히 하고 있는 것이다.
spree writer들에게 키보드 두드리기는 마지막 단계이며, 사실상 글쓰기의 많은 부분은 이미 끝나있다.
off the cuff lecture 즉흥 강의를 하듯 글쓰기를 하는 것이다. (내용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면 즉흥강의는 불가능하다. 다만, 말과 글로 생각(내용)을 끌어내는 형식과 방법에 차이가 있을 뿐 본질적으로 같은 과정이다.)
결국 spree writer들도 매일 글쓰기를 in-head로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Spree or not?
종종 집중적인 글쓰기를 하는가? 정기적으로 논문을 출판하고 있는가? 글쓰기가 스트레스인가?
만약 그렇다면 당신은 spree writer가 아니다.
heavy revisor인가? 투고 하기 전 십여차례 초안을 만들어야 하는가? 글을 쓰고 나면 heavy revision이 필요한가? 만약 그렇다면 당신은 spree writer가 아니다.
초안이 완성본처럼 나오는 사람들이 spree writer이다.
(왜 heavy revision이 필요할까?)
Spree writer들처럼 짧은 시간에 많은 성과를 가지고 싶은가?
계산해보자.
Spree writer: 8시간/일 X 4일 X 4회/연 + 1시간/주 X 52주 = 180시간/연간
만약,
15분/일 X 5일/주 X 52주 = 65시간
40분/일 X 5일/주 X 52주 = 173.3시간
매일 쓰는 사람보다 spree writer들이 시간을 더 많이 사용한다.
보통의 경우라면 즐겁고, 부담이 적은 매일 글쓰기를 실천하기 추천한다.
매일 쓰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다음의 지침을 참고하라.
매일 글쓰기 위해 노력하지만, 다른 바쁜 일이 있다면 2-3일정도 건너 뛰어도 좋다.
단, 4일 이상 글쓰기를 하지 않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매일 글쓰기를 방해하는 것들

동기 문제
감정 문제
건강 문제
사람들과의 문제
주의 산만
자신감
자원부족
Obstinance 문제
나의 글쓰기를 방해하는 것들을 다음 목록에 적고, 그 정도를 평가하라.
글쓰기 장애물을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저자의 웹사이트에 게시된 “Solutions to Writing Obstacles”를 참고하라.

현실적인 글쓰기 계획 세우기

하루 15분~2시간, 주 5회, 정해진 장소에서 글을 쓴다면 드라마틱한 향상이 일어날 것
이 섹션에서는 실현가능한 글쓰기 계획과 논문 투고 데드라인을 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활동을 제시함.
1.
캘린더를 준비
워크북의 양식을 활용해도 좋고, 별도의 양식을 사용해도 무방
종이에 펜으로 기입하는 것을 추천
1 Week Calendar for Planned (Not Actual) Time Spent Writing This Week.pdf
51.9KB
Twelve-­ Week Calendar for Planning Article Writing Schedule.pdf
69.3KB
2.
이번주 일정을 기록한다.
모든 일정을 기록하여, 글쓰기에 사용할 수 있는(없는) 시간을 확인
이번주의 일정이 불규칙하여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좀 더 평범한 주간에 한 번 더 작성
3.
글쓰기 할 시간을 정한다.
매일 글쓰기를 할 시간을 정하여 표시한다.
매일 글쓰기는 워크북을 읽고 과제를 수행하는 것까지 포함
당신의 목표는 야심차기보다는 현실적이어야 함을 기억하라.
alert and energetic 할 수 있는 시간대를 선택하라
만약 full time job을 가지고 있다면, 매일 저녁 4시간이나 매주 주말 하루 종일과 같은 비현실적인 계획을 세우지 말라. 실현 불가능한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용기를 잃게 할 뿐이다.
조금(15분)이라도 매일 쓸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라.
일정한 패턴을 가질 수 있또록 계획하라. 시간/장소, 또는 어떤 이벤트 직후 등
4.
글쓰기에 사용할 시간과 매일 어떤 과제를 수행할 것인지 기록하라.
5.
다른 사람에게 당신의 계획을 공유하라(social pressure).
6.
12주 동안의 일일 계획을 수립하라. [12 week calendar]
다가올 12주 동안의 여러 일정들을 고려하여 글쓰기 계획을 수립한다. 방해요인이 있는 경우 해당 일정만큼 조정하여 글쓰기 기간을 연장한다.
글쓰기는 12주 또는 그보다 길어질 수 있음.
매주 가용 시간의 합을 계산하여 표기하라.
7.
실현 가능한 논문 투고 일정을 수립하라.
다음 챠트에 근거하여 소요시간을 추정하라.
예를 들어, SciQua 트랙이면서, 메이져 리비젼이 필요한 원고를 가지고 있고, 매주 8시간씩 글쓰기에 사용할 수 있다면 48주가 소요된다.
8.
논문 작성 시작 / 종료 날짜를 정하라.
이 워크북을 여기까지 자세히 읽었으며, 모든 과제들을 완수하였다면 이제 글쓰기를 시작할 준비가 된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다음주를 선택하고 그 전까지 워크북을 다시 자세히 읽어라.
아래의 “글쓰기 결심”을 완성하고, 12주 계획표를 다시 작성(수정)하라.
9.
“글쓰기 결심”을 출력하여 잘 보이는 곳에 붙여라.
워크북을 읽는 것을 포함하여 글쓰기 활동 시간을 반드시 추적하고 플래너에 기록하라.

논문 투고 계획 세우기

Day3, 교정할 원고 선택하기